철학

철학 (Philosophy)이란?

가자엘리정 2023. 11. 17. 03:00

 

 

철학의 의미

철학 (Philosophy)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지혜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며 사랑과 지혜의 합성어입니다. 이는 세계와 인간의 삶에 대한 근본 원리, 세계관, 인간의 본질 등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으로 존재, 이성, 가치, 언어, 윤리, 논리, 마음, 지식, 인식 등을 대상으로 한 근본적이고도 일반적인 실체를 연구합니다.

 

 

 

지식과 지혜를 사랑하는 태도로 철학을 정의한다면, 철학은 특정한 학문이 아니라 학문 전반에서 요구되는 기본 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은 보다 큰 시야로서 세계를 바라보고 생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철학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사고방식을 다루고 있는 폭넓은 의미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철학의 기원

프로타고라스에 의해 만들어진 "철학"이라는 용어는 비판적인 사고와 지적 탐구를 통해서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 깊은 이해를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담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철학은 학문 그 자체를 논하는 단어 이상은 아니였으며 로만 사용되었으며, 현상, 사물, 세계와 인간의 궁극적인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것을 중요시 여겼습니다.

 

 

 

 



철학의 어원


철학의 영어 명칭은 'Philosophy'로 고대 그리스어의 '필라' (philos, 사랑)와 '소피아' (sophia, 지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로, 직역하면 '지혜를 사랑한다'라는 뜻입니다. 철학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소크라테스로, 그는 스스로를 지혜의 소유자로 자처하는 소피스트와 대비하여 오직 지혜를 사랑하는 자로서의 자신를 강조하면서 유래되었습니다. 철학이라는 용어는 동양에서는 19세기 후반이 되어 일본에서 '희철학'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나중에 줄어서 '철학'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에서는 1912년 이인재가 발간한 [철학고변]에서 최초로 사용한 것으로 기록됩니다.

 

 

 

 




철학의 주요 주제


철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그 예로는 인식론적, 철학은유리학, 과학 철학 등 여러 하위 분야로 나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중심이 되어 프리즘 철학이 시작되었습니다. 중세 시대에 이르러서는 종교철학이 중시되었는데, 이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현대 철학은 구조주의, 언어학, 포스트 현대주의 등 다양한 접근과 학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철학의 역할


가치관, 세계관, 인생관 등이 포함된 철학적인 지식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오랫동안 존재했으며, 동양과 서양의 상호작용 후 철학은 주로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하는 서양 철학을 말했었지만 현재의  철학은 동서로 분리되지 않습니다.  현대 철학은  철학적 사고를  기초로하여  언어철학이나 논리학과 같은  분야에서의 명제 간 관계 명료성, 문제 명확성, 개념 엄밀성, 전제 설정을 뚜렷히 보이고 있습니다.




철학적인 문제


철학은 다양한 철학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요. 이에는 인간의 본질과 지식의 원천,도덕적 원칙 등이 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대 철학은 현재도 지속적으로 발전중이며 구조주의나 언어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철학의 주요 분야와 하위 분야


철학의 주요 분야는 형이상학, 논리학, 인식론, 윤리학이 있습니다. 형이상학은 사물, 존재, 속성, 존재의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특징을 조사하고 있으며, 논리학의 연구 분야는 올바른 추론에 중점을 두며, 좋고 나쁜 논증을 구별하는 방법을 어떻게 찾아갈지 탐구하는 영역입니다. 인식론은 과연 지식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런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고 할 수 있을까? 에 대한 연구분야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윤리학은 우리 인간의 올바른 행동을 구성하는 요소를 조사하고 도덕적 원칙을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주목할해야할 분야로는  종교철학, 과학철학, 정치철학, 수학철학, 정신철학, 역사철학, 언어철학,미학 등은 하위 분야이며 이런  각 분과 내에는 서로 경쟁하고 있는 철학학교가 있으며, 그 곳에서는 서로 다른 원리와  이론 그리고  방법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철학적 방법


언어와 논리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철학적 주제를 명료하게 다루고, 논리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논쟁과 비판의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학문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철학은 단순히 학문으로서의 지식의 증진이나 경험의 확장을 넘어, 원초적이고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계의 본질과 인간의 존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목표이며,  삶의 의미에 대한 진리의 특성, 고찰, 윤리적 고민, 지적 탐구, 지식에 대한 탐구와  폭넓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을 제공합니다. 철학적 방법은 비판적인 토론과 질문 그리고 이성적 주장, 체계적 진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철학이 지혜를 사랑하며 지혜를 향한 탐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문적 활동을 나타낸다. 더불어 폭넓은 의미의 사고방식과 세계관을 뜻하기도 합니다.




철학자들의 방법과 활동


철학자들은 철학적 지식에 도달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에는 상식및 직관에 대한 의존, 개념 분석, 사고실험의 사용, 경험 설명및 비판적 질문, 일상 언어 분석이 속해있습니다. 철학은 수학, 과학, 저널리즘, 법률, 비즈니스등 보다 다양한 한분야에서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습니다. 학제 간 관점을 제공합니다. 또한 범위와 기본적인 개념을 연구하며 방법과 윤리적 의미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철학은 인간으로서 마주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지적인 인간성을 높이고,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토론에 동참하며 학문과 인류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